해당 포스트에 쓰인 모든 이미지의 출처는 코드스테이츠입니다.
주제
- 시간복잡도가 무엇이고 왜 사용되는지?
- 각 자료구조별 시간복잡도 분석
1. Complexity Analysis - 복잡도 분석
- input n 에 대하여 알고리즘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리는 지를 분석하는 것
-
Big-O 표기를 이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.
- O(1) – 상수 시간 : 입력값 n 이 주어졌을 때, 알고리즘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오직 한 단계만 거친다.
- O(log n) – 로그 시간 : 입력값 n 이 주어졌을 때,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단계들이 연산마다 특정 요인에 의해 줄어든다.
- O(n) – 직선적 시간 :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의 수와 입력값 n이 1:1 관계를 가진다.
- O(n^2) – 2차 시간 :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의 수는 입력값 n의 제곱이다.
- O(C^n) – 지수 시간 :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의 수는 주어진 상수값 C 의 n 제곱이다.
왜 중요한가?
- 자료구조 메소드들의 시간복잡도가 무엇인지 생각을 하면서 상황에 더 맞는 답인지 아닌지를 알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.
- 각각의 데이터구조 장, 단점을 알아야 데이터구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.
-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때마다 시간복잡도를 분석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.
시간복잡도 예제
숫자의 배열에서 두 수의 차가 가장 큰 것을 찾는 문제
1. 모든 경우의 수를 확인하는 방법 - n² => O(n²)
2. 가장 큰 수와 작은 수를 확인하는 방법 - 2n => O(n)
3. 값이 정렬된 경우일 때 (오름차순일 경우) - 3 => O(1)
- 최고로 빠른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.
- 가장 큰 수에서 가장 작은 수를 빼면 된다
-
숫자의 개수와 상관없이 항상 3번 계산
- 맨 앞에 숫자를 뽑고
- 맨 뒤의 숫자를 뽑고
- 두개의 숫자를 빼준다
요약 - Big-O Notation
1. constant : O(1)
- 문제의 크기가 커져도 걸리는 시간은 항상 일정하다.
- 값을 검색할 때, 객체에서 키를 알거나 배열에서 인덱스를 알고 있으면 언제나 한 단계만 걸린다.
- ex) 배열에서 특정 인덱스 탐색, 해시테이블에서 추가
2. logarithmic : O(log n)
- 배열에서 값을 찾을 때, 어느 쪽에서 시작할지를 알고 있으면 검색하는 시간이 두배로 준다.
- ex) 이진탐색트리
3. linear : O(n)
- 데이터의 갯수만큼 탐색할 경우
- linked list, Array 탐색
4. quadratic : O(n²)
- 문제를 풀기 위해 모든 조합과 방법을 시도할 때 사용된다.
- for문 안에 for문
5. esponential : O(c²)
- recursion에서 memoiz기법을 사용하지 않았을때
Data structure With Time Complexity
Array, linked list, Trees의 Time Complexity
1. Arrays
2. Linked List
3. Tree
Root Node => children
- 값 조회(Find, value 사용) => O(n)
- 값 할당(Assignment) => O(n)
- 값 추가(insert) => O(1)
- 값 삭제(remove)
4. Binary Search Tree
Root Node => children => Left (OR) Right
- 값 조회(Find, value 사용) => O(log n)
❗ 예외 케이스 ❗
한쪽으로만 값이 몰릴 경우 => O(n)
[ 위의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Solution ]
- 각 Parents의 왼쪽, 오른쪽 가지들의 깊이가 1을 초과하여 차이가 난다면 밸런스가 무너진 상태
- 밸런스가 무너질 때 마다 가지의 깊이가 더 깊은 쪽의 값을 얕은 쪽으로 이동시킨다.
- 이렇게 하면 트리의 복잡도는 항상 O(log n)
정렬된 배열 vs 이진탐색트리
Array
는 연속된 공간을 차지하지만,
Tree
를 Linked List를 사용하여 구성하게 되면 공간을 연속적으로 차지하지 않고 메모리 구석구석에 위치할 수 있어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.
💁♀️ 참고블로그